우분투 리눅스에서 MariaDB 설치 및 초기 설정
·
Linux
1. MariaDB 설치1.1 MariaDB 패키지 업데이트MariaDB가 Ubuntu 기본 레포지토리에 포함되어 있으므로 먼저 시스템 패키지를 업데이트 한다.sudo apt updatesudo apt upgrade -y 1.2 MariaDB 설치sudo apt install mariadb-server mariadb-client -y 1.3 MariaDB 서비스 시작 및 확인MariaDB 설치 후, 서비스를 시작하고 활성화한다.sudo systemctl start mariadbsudo systemctl enable mariadb MariaDB 상태 확인 :sudo systemctl status mariadb2. MariaDB 초기 설정2.1 보안 설정 (mysql_secure_installation)Ma..
리눅스 패키지(apt)과 압축(tar, gz)
·
Linux
리눅스 패키징(Packaging)패키징은 소프트웨어를 설치, 업데이트, 제거, 관리할 수 있도록 구성된 포맷과 관련 도구를 의미합니다. 리눅스 시스템은 다양한 배포판(Distro)을 가지며, 배포판에 따라 패키지 관리 시스템(Package Manager)이 다를 수 있습니다.패키지의 구성리눅스에서 패키지는 보통 다음을 포함합니다: 바이너리 파일: 실행 가능한 소프트웨어 파일. 설정 파일: 보통 /etc 디렉토리에 위치. 의존성 정보: 패키지가 실행되기 위해 필요한 다른 패키지 목록. 스크립트: 설치, 업데이트, 제거 시 실행되는 자동화된 명령.---주요 패키지 형식1. Debian 계열 (Debian, Ubuntu 등) 패키지 형식: .deb 패키지 관리 도구: APT(Advanced Pack..
리눅스 프로세스 관리 (ps, top, kill..)
·
Linux
리눅스 프로세스 관리 개요리눅스에서 프로세스(Process)는 실행 중인 프로그램 또는 명령어를 말하며, 시스템의 중요한 자원(메모리, CPU 등)을 효율적으로 관리합니다. 리눅스 프로세스 관리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프로세스의 기본 개념 프로세스 ID (PID): 모든 프로세스는 고유한 프로세스 ID(PID)를 가집니다. 부모-자식 관계: 모든 프로세스는 부모 프로세스에서 생성되며, 최상위 부모 프로세스는 init(systemd)이고 PID는 1입니다. 프로세스 상태: R (Running): 실행 중이거나 실행 준비 상태. S (Sleeping): 대기 상태. D (Uninterruptible): 종료 불가능한 대기 상태(I/O 작업 중). Z (Zombi..
리눅스 사용자 권한 (chmod, chown, chgrp)
·
Linux
리눅스 파일 권한 구조1. 기본 권한의 구성리눅스의 파일 권한은 ls -l 명령으로 확인할 수 있습니다. 예를 들어:-rw-r--r-- 1 hong devteam 1024 Jan 9 10:00 example.txt 항목 설명 -rw-r--r-- 권한: 소유자(owner), 그룹(group), 기타 사용자(others) 권한. 1 하드 링크의 개수. hong 소유자(owner): 파일의 주인 사용자. devteam 그룹(group): 소유자가 속한 그룹. 1024 파일 크기(바이트 단위). ..
리눅스 sudo(superuser do) 와 su(substitute user) 명령어
·
Linux
리눅스 관리에서 중요한 명령어인 sudo와 su는 각각 특정 명령 실행과 사용자 전환을 목적으로 사용된다.이 글에서는 두 명령의 특징과 사용법을 정리했다.sudo 명령어sudo란? "superuser do"의 약자로, 현재 사용자 비밀번호를 입력하여 관리자 권한으로 특정 명령을 실행한다.보안성을 유지하면서 필요한 작업만 관리자 권한으로 실행할 수 있게 설계되었다.sudo의 주요 특징권한 제한 : 특정 명령만 관리자 권한으로 실행 가능.안전성 : 관리자 비밀번호 대신 사용자 비밀번호를 사용하며 로그로 기록됨.시간 제한 : 인증 후 기본 5분 동안 추가 인증 없이 사용 가능 (설정 변경 가능).로그 기록 : 실행 기록은 /var/log/auth.log 또는 /var/log/secure 에 저장sudo 사용법..
리눅스 사용자 계정
·
Linux
리눅스 사용자 계정의 구조사용자 정보 파일/etc/passwd모든 사용자 계정 정보를 저장.형식: username:x:UID:GID:comment:home_directory:shell설명:username: 사용자 이름.x: 비밀번호 필드(보안상 /etc/shadow에 저장).UID: 사용자 ID.GID: 그룹 ID.comment: 사용자 설명(예: 이름).home_directory: 홈 디렉토리 위치.shell: 로그인 셸(기본값: /bin/bash)./etc/shadow암호화된 비밀번호를 저장.형식: username:encrypted_password:last_change:min:max:warn:inactive:expire/etc/group그룹 정보를 저장.형식: group_name:x:GID:membe..
리눅스 디렉토리 계층 구조
·
Linux
리눅스의 디렉토리 계층 구조는 FHS(Filesystem Hierarchy Standard)에 따라 설계되었습니다. 이 표준은 리눅스 및 유닉스 계열 시스템에서 파일과 디렉토리가 어떻게 구성되고 배치되어야 하는지를 정의합니다. 이를 통해 사용자는 디렉토리의 역할과 파일의 위치를 쉽게 이해할 수 있습니다.리눅스 디렉토리 계층 구조의 핵심리눅스 파일 시스템은 루트 디렉토리(/)에서 시작하며, 모든 디렉토리와 파일은 이곳에서 파생됩니다. 루트 디렉토리 아래에는 기능별로 나뉜 하위 디렉토리가 존재합니다.주요 디렉토리와 역할디렉토리설명/루트 디렉토리: 모든 파일과 디렉토리의 최상위 디렉토리입니다./bin사용자 명령어 바이너리: 시스템 실행에 필요한 기본 명령어(ls, cp, mv 등)가 포함됨./boot부팅 파일..
가상화(Virtualization)
·
Linux
가상화(Virtualization)는 물리적인 컴퓨팅 리소스를 논리적으로 분리하여 더 유연하고 효율적으로 사용할 수 있도록 하는 기술입니다. 이를 통해 하나의 물리적인 하드웨어를 여러 개의 독립된 환경으로 나누거나, 반대로 여러 하드웨어를 하나의 논리적인 환경으로 통합할 수 있습니다. 가상화는 현대 IT 환경에서 중요한 개념으로, 클라우드 컴퓨팅, 서버 관리, 네트워킹 등 다양한 분야에서 활용됩니다.가상화의 핵심 개념1. 물리적 자원과 논리적 자원의 분리물리적인 하드웨어(서버, 스토리지, 네트워크 등)를 가상 자원으로 추상화합니다.가상 자원은 실제 하드웨어처럼 작동하지만, 소프트웨어로 제어되며 독립적으로 동작합니다.2. 하이퍼바이저(Hypervisor)가상화를 구현하는 핵심 소프트웨어입니다.하드웨어와 가..
리눅스의 계층 구조(커널, 셸 등)
·
Linux
리눅스 계층 구조의 개요리눅스 운영 체제는 크게 다음과 같은 4가지 계층으로 나눌 수 있습니다.하드웨어 계층커널 계층유틸리티 계층사용자 계층 (셸 포함)이제 각 계층을 자세히 살펴보겠습니다.하드웨어 계층이 계층은 물리적인 컴퓨터 하드웨어를 포함합니다.예: CPU, 메모리(RAM), 저장 장치(SSD, HDD), 네트워크 카드 등리눅스 운영 체제는 하드웨어를 직접 제어할 수 없으며, 이를 위해 커널이 존재합니다.하드웨어는 커널이 제공하는 인터페이스를 통해 접근됩니다.커널 계층커널은 리눅스 운영 체제의 핵심이며, 하드웨어와 소프트웨어 간의 중재자 역할을 합니다.커널은 다음과 같은 주요 기능을 수행합니다:프로세스 관리CPU 시간을 각 프로세스에 할당하고, 여러 프로세스가 동시에 실행되도록 스케줄링합니다.프로세..
시스템 관리자(System Administrator, SysAdmin)
·
Linux
시스템 관리자의 정의시스템 관리자는 조직의 서버, 네트워크, 데이터베이스, 소프트웨어 등의 IT 환경을 책임지는 전문가입니다. 주요 목표는 시스템의 안정적인 운영, 문제 발생 시 신속한 해결, 보안 유지입니다.시스템 관리자의 주요 역할서버 관리서버 설치 및 설정: 물리적/가상 서버를 설정하고 운영 체제를 설치합니다. (예: Linux, Windows Server)성능 모니터링: CPU, 메모리, 디스크 사용량을 모니터링하고 최적화합니다.서버 확장: 트래픽 증가 시 수평/수직 확장을 통해 안정적 서비스를 제공합니다.네트워크 관리네트워크 구성: 라우터, 스위치, 방화벽 설정 및 관리.트래픽 관리: 네트워크 트래픽을 모니터링하여 병목 현상을 방지합니다.VPN/원격 접속 설정: 원격 근무를 지원하기 위한 보안 ..